본문 바로가기
교육

자기주도학습의 중심 ‘동기 조절’|공부를 계속하게 만드는 힘 키우기

by 린유리 2025. 6. 24.
반응형
“공부 좀 하라고 하면 화부터 내요.”
“의지는 있는데 오래 가지 않아요.”
“계획은 잘 세우는데 금방 포기해요.”

 
많은 부모님들이 자녀의 공부 태도를 보며 가장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공부 동기’입니다. 그런데 공부 동기란 단순히 “열심히 해!” 한다고 생기지 않습니다. 아이 스스로 ‘왜 공부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면 공부를 계속할 수 있는지’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자기주도학습의 또 하나의 핵심 요소인 ‘동기 조절’입니다.


동기 조절이란 무엇인가요?

동기 조절(motivation regulation)이란, 공부를 하는 도중에 의욕이 떨어질 때 다시 집중할 수 있도록 스스로 마음을 다잡는 능력입니다. 공부가 재미없고 지칠 때도 목표를 기억하고 다시 의욕을 회복하는 힘, 스스로를 설득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힘이죠.
 
 동기 조절이 잘 되는 아이는?

  • 하기 싫은 과목도 목표를 생각하며 참고 합니다.
  • 힘들어도 “그래도 여기까지는 해보자!”고 말합니다.
  • 성취감이나 뿌듯함을 느끼고 다음으로 나아갑니다.

동기 조절이 약한 아이는?

  • 조금 힘들면 “몰라, 안 해”로 포기합니다.
  • 외부 자극(혼남, 칭찬 등)에만 반응합니다.
  • 장기적인 목표보다는 지금의 기분에 따라 움직입니다.

동기 조절 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아이가 스스로 공부에 몰입하고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 실천 가능한 전략들을 소개합니다.

1. 목표 상기하기

  • “왜 공부해야 하는지” 스스로 떠올려보는 연습
  • 단기/장기 목표를 시각화하거나 글로 써보기

📌 예: “이번 시험은 영어 80점 넘기기!”,  “중학생이 되면 내가 원하는 과학실험동아리에 들어갈 거야.”
 

2. 자기 강점 활용하기

  • 좋아하는 과목이나 잘하는 활동으로 동기 자극
  • “이건 내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해볼래”라는 경험 제공

📌 예: 수학을 싫어해도 문제를 게임처럼 풀기, 사회 과목은 마인드맵 그리기, 퀴즈 내기

 

3. 작은 성공 경험 쌓기

  • 아주 쉬운 목표부터 시작해서 ‘할 수 있다’는 감각 강화
  • 즉시 성취할 수 있는 활동부터 설정

📌 예: “10분만 집중해보자.” → “어, 나 해냈네?”, “한 페이지 읽고 쉬자.” → 다음 페이지로 자연스레 이어짐

 

4. 보상 전략 활용하기

  • 외적 보상도 초기에는 필요함. 단, ‘노력’에 대한 보상 중심
  • 장기적으론 내적 동기로 전환되도록 연결

📌 예: “오늘 공부 끝나면 좋아하는 간식 먹자!”, “일주일 계획 잘 지키면 주말에 영화 보기”


 부모가 할 수 있는 동기 코칭법

동기 조절 능력은 스스로 키워야 하지만, 부모의 따뜻한 피드백과 현실적인 칭찬이 중요한 환경을 만듭니다.

 1.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하세요

❌ “90점 맞았네! 잘했어!”
✅ “틀린 문제 분석하려는 자세가 좋았어.”
✅ “계획 세우고 끝까지 해낸 게 대단하구나.”
→ 노력, 태도, 실행력에 집중한 칭찬이 내적 동기로 연결됩니다.
 

 2.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세요

❌ “그걸 왜 힘들다고 해? 다 하는 거잖아.”
✅ “그 과목 어렵지. 그래도 포기 안 하고 하려는 게 멋지다.”
→ 아이는 공감받는 경험을 통해 자신을 믿게 됩니다.
 

 3. 자주 묻고 함께 계획하세요

  • “이번 주엔 어떤 과목 먼저 해볼까?”
  • “요즘 가장 재미있는 과목은 뭐야?”
  • “어떨 때 공부가 잘돼?”

→ 질문은 아이 스스로 동기를 인식하고 조절하게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의욕이 들쭉날쭉한 우리 아이가 공부를 지속할 수 있는 힘을 가지려면, 지금 필요한 건 지속가능한 동기 조절 전략부모의 따뜻한 조력입니다. “우리 아이는 공부에 의지가 없어요.”라는 말 대신 “지금 우리 아이의 동기를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라는 질문으로 아이와 함께 자기주도학습의 첫 단계를 만들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