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심리학47 청년기 정체성 이론(Erikson,Marcia) 1. Erikson의 정체성 탐색 과업Erikson은 청년기에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고 극복해야 할 일곱 개의 주요 과업을 제시하고 있다. 시간조망 대 혼돈정체성의 확립을 위해 균형 있는 시간 조망은 필수적인 과제이다. 시간 조망은 과거와 현재의 자기를 인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시간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균형 있는 시간 조망이 시작되면 하루의 체계적인 시간 계획이 가능하게 되며, 시간 조망이 확장되면서 점차 안정된 생애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시간 조망의 혼돈에 빠져들면 과거의 회상에 몰입하거나 미래에 펼쳐질 시간을 어떻게 설계하고 보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당황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계획을 미루고 행동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야기된다. 자아확신 대 무감각청년기 정체성의 확립.. 2024. 12. 29. 청년기 자아발달이론 1. Blos의 적응체계 이론Blos는 청년기 발달을 이차 개체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차 개체화는 흔히 심리적 이유라 일컫듯이 청년의 자아가 부모로부터 이탈해 가는 과정을 뜻한다. 이 이탈 과정 속에는 부모의 통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의미하므로 개인의 성적 정체성의 확립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차 개체화를 거쳐 독립된 청년의 자아는 스스로 신체 및 성적 변화에서 오는 갈등을 극복하고 안정된 자아의 적응체계를 확립해 가기 시작한다. Blos는 이러한 청년기 자아 발달 과정을 여섯 개의 하위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단계는 잠재기이다. Freud의 설명을 통해 이미 알고 있듯이 잠재기는 리비도의 충동이 약화되는 반면에 자아가 강력하게 발달하는 시기이다. Blos는 잠재기를 사춘기에 나타나는 .. 2024. 12. 22. 청년기 자아발달(발달양상) 아동기 구체적 조작사고로부터 청년기 형식적 조작사고로의 이행은 자아와 도덕성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청년기에는 주로 가시적인 외적 준거에 의해 쉽게 자신을 평가하고 수용하던 아동기의 구체적 조작적인 자아에서 벗어나 보다 추상적이며 내재적인 자아를 탐색하게 된다. 또한 개인 욕구 중심이던 아동기 도덕적 사고의 한계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는 인습적인 도덕적 사고를 갖게 된다.1. 청년기 자아 인지의 특징청년기 자아 인지의 특징청년기에는 많은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형식적 조작사고의 발달로 인해 자아 인지 또한 다양화된다. 청년들이 자신을 탐색하고 기술하며 평가하는 영역은 아동기에 비해 훨씬 세분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Harter의 청년기 자아 인지 척도는 .. 2024. 12. 20. 청년기 사회인지발달 1) 청년기 자아중심성형식적 조작 사고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가능성을 생각하게 되면 청년들은 자신의 생각과 관념 속에 사로잡히게 된다. 청년들은 자신이 중요하고 가치롭다고 생각하는 관념의 세계와 타인의 관념을 구분하지 못하며, 자신에게만 독특한 세계와 타인이 보편적인 세계를 구분하지 못한다. 따라서 청년들은 자신은 특별한 존재라는 청년기 특유의 독특성에 대한 착각에 빠져들게 되며, 자신이 우주의 중심이 된다고 믿을 만큼 강한 자의식을 보이게 된다. Elkind는 이러한 청년기 특유의 사회인지적 특성을 청년기 자아중심성이라 부른다. 자아중심성은 청년기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발달적 속성의 하나이다. 청년기 자아중심성은 형식적 조작 사고가 발달하는 11~12세경에 시작되며, 15~16세경에 정점.. 2024. 12. 19. 청년기 인지발달 아동기와 마찬가지로 청년기 인지 발달 또한 주로 Piaget의 이론적 틀로 설명되고 있다. Piaget에 의하면 청년기는 형식적 조작 사고가 발달하는 단계이다. 11~12세경에 시작하는 형식적 조작기는 Piaget 이론에서 인지 발달의 마지막 단계로서 성인기까지 지속된다.1) 형식적 조작 사고의 발달(1) 형식적 조작 사고의 논리적 모형Piaget는 형식적 조작 사고의 발달을 다룬 그의 저서 에서 논리적인 실험 과제의 해결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형식적 조작 사고의 특징을 분석해 냈다. Piaget는 형식적 조작 사고의 특징을 16개의 이원결합 조작과 INRC군의 두 논리적 모형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원결합 조작은 어떤 실험이나 현상 속에서 각 변인의 관찰 가능한 결과와 관찰할 수 없는 결과 간의 논리적 결.. 2024. 12. 18. 청년기 발달이론(맥락중심적 접근) 청년기의 심리적 발달을 청년들이 몸담고 있는 환경의 특성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하려는 이론적 입장을 맥락 중심적 접근이라 한다. 이 접근은 청년기 심리 발달의 뿌리를 신체 및 성적 성숙에서 찾고 있는 Freud, Blos, Erikson 등의 생물학적 결정론의 반대쪽에 있는 이론적 입장이다. Margaret Mead의 Samoa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문화는 가장 일찍부터 청년 심리학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어온 맥락의 하나이다. 청년기 발달의 문화인류학적 모형은 특정 문화가 청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 것이다. Bronfenbrenner를 중심으로 하는 인간 발달의 생태학적 모형 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맥락 중심적 접근이다. 맥락적 특성과 유기체 특성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Lerne.. 2024. 12. 17. 청년기 발달이론(인지발달적 접근) Piaget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인지발달적 접근에서는 청년기에 이루어지는 인지발달적 변화에 의해 청년기 특유의 사고양식과 행동을 이해하고자 한다.인지발달적 접근 (1)Piaget의 형식적 조작사고 이론Piaget는 청년기를 그의 인지발달 이론의 마지막 단계인 형식적 조작기로 규정하고 있다. 청년기 형식적 조작사고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전제로 추론하는 명제적 사고와 문제 해결 과정에서 관련 변인들을 추출하고 분석하며 이를 상호 관련 짓고 통합하는 결합적 분석, 구체적 대상의 존재 여부와 관련 없이 형식 논리에 의해 사고를 전개하는 추상적 추론의 세 가지 특성을 갖는다. 보다 쉽게 말해서 형식적 조작기는 청년들이 눈앞에 주어진 구체적인 사태를 넘어서 보이지 않는 모든 가능한 것들에 대해서 고려하고 원리.. 2024. 12. 16. 지각발달(2) 깊이지각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적 환경 내에는 장애물 틈, 벼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위험 요소들이 도사리고 있다. 영아가 이들 요소들을 정확하게 지각하고 피하는 것은 생존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지각 능력의 발달은 생태학자들이 말하는 적소 추구의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영아의 공간 지각 중에서도 깊이 지각은 가장 많은 연구와 논란이 진행되고 있는 주제이다. 이 연구를 최초로 시작한 Gibson과 Walk는 시각 벼랑 실험 장치를 고안하였다. 이 장치의 한쪽은 넓고 평평한 탁자의 표면 위에 바둑판 무늬가 있는 천을 깔고 그 위에 수평으로 된 유리판을 놓았다. 장치의 다른 편은 탁자의 표면이 없는 데에도 같은 바닥에 같은 무늬를 깔고 탁자와 같은 높이에 투명한 유리판을 깔아 비춰 보이도록 하여 .. 2024. 12. 14. 지각발달 지각은 감각기관에 들어온 자극에 통합성을 부여하여 경험으로 자각하기까지의 과정을 의미한다. 인간이 자신이 몸담고 있는 환경과 환경 내의 여러 대상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변별하는 일은 생존과 적응에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의 기초로서의 지각발달을 이해하는 것은 인지발달 연구의 주요 영역을 차지한다. 근래에 알려진 바로는 대부분의 중요한 기본적인 지각적 능력은 생후 1년 사이에 거의 발달이 완성된다. 따라서 이 절에서 다루어질 지각발달의 내용들은 주로 영아기의 지각발달에 관한 것이다. 이 절에서는 먼저 영아기 지각발달에 관한 여러 흥미 있는 사실들을 어떻게 밝혀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영아기 지각을 연구하는 방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영아기의 시지각과 소리지각의 발달 양상을 살.. 2024. 12. 13.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