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달심리학

청년기 발달이론(맥락중심적 접근)

by 린유리 2024. 12. 17.
반응형

청년기의 심리적 발달을 청년들이 몸담고 있는 환경의 특성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하려는 이론적 입장을 맥락 중심적 접근이라 한다. 이 접근은 청년기 심리 발달의 뿌리를 신체 및 성적 성숙에서 찾고 있는 Freud, Blos, Erikson 등의 생물학적 결정론의 반대쪽에 있는 이론적 입장이다. Margaret Mead의 Samoa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문화는 가장 일찍부터 청년 심리학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어온 맥락의 하나이다. 청년기 발달의 문화인류학적 모형은 특정 문화가 청년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 것이다. Bronfenbrenner를 중심으로 하는 인간 발달의 생태학적 모형 또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맥락 중심적 접근이다. 맥락적 특성과 유기체 특성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Lerner의 맥락주의 모형은 맥락 중심적 접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론이다.

(1) Mead의 문화인류학적 모형

청년 심리학의 문화인류학적 접근은 Boas의 문화적 상대론에 근거한다. Boas는 인간의 발달적 특성을 형성하는 것은 생물학적 기제가 아니라 사회적 요인이라는 문화적 결정론을 주장하였다. 그는 질풍노도와 같은 청년기의 혼돈과 위기는 성호르몬 분비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고도로 경쟁적인 서구 사회가 만들어낸 문화적 부산물로 생각하였다. Boas의 제자인 Mead는 Samoa 청년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화적 상대론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는 서구의 청년들과 달리 Samoa의 젊은이들은 평화롭고 즐거우며 행복한 청년기를 보낸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Mead는 청년기가 긴장과 갈등, 그리고 성적 혼돈을 겪는 시기가 될 것인지, 또는 조화롭고 행복한 시기가 될 것인지는 전적으로 문화적 맥락에 의존한다고 판단하였다. 같은 New Guinea 종족이면서도 척박한 산속에 살며 서로 협력하여 먹을 것을 거두어들이는 Arespesh족의 청년들은 협조적이고 따뜻하며 평화롭고 유순한 데 반하여, 정글의 물살이 센 강에서 혼자 고기를 잡아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Mundungumor족의 젊은이들은 잔인하고 공격적이며 자기주장적이고 경쟁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는 관찰 결과는 문화적 상대론을 입증하는 것이다. Mead의 연구는 Samoa 청년과 6년간 함께 생활하면서 그들의 특성을 관찰한 호주의 문화인류학자인 Freeman에 의해 전적으로 오류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Freeman은 Samoa의 젊은이들도 서구의 청년들과 마찬가지로 경쟁, 폭력, 죄의식, 억압된 성적 욕구 등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청년기 심리적 특성은 생물학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통합적 입장을 제시하였다.

(2)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모형

Bronfenbrenner가 주도한 발달의 생태학적 모형은 청년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들을 거시적이며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해 주고 있다. Bronfenbrenner가 제시한 네 개의 사회문화적 주도체계와 이들 체계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청년기 발달을 연구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고 있다. 가족, 학교, 축구팀과 같은 미시체계는 청년들의 심리적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이며, 그 상호작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중간체계와 외체계를 통합하는 거시체계로서의 청년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제시하고 있다.

(3) Kandel의 부모-교우 관계 모형

청년기 부모 관계와 교우 관계 간의 갈등은 많은 발달심리학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어온 문제이다. Kandel은 청년기 교우집단이 형성되는 원리와 부모와 교우가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생태학적 모형의 틀 위에서 설명함으로써 전통적인 청년기 발달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Kandel은 청년기 교우집단의 형성, 지속 및 해체를 선택 과정과 사회화 과정에 의해 설명한다. 또한 청년기 부모와 교우 집단의 상대적 영향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해서는 부모-청년 관계의 특성, 교우 집단의 본질, 그리고 부모-교우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4) Lerner의 맥락주의 모형

Lerner는 청년을 둘러싼 환경적 맥락 내의 여러 요구와 청년의 기질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청소년 발달을 이해하려는 맥락적 입장을 갖고 있다. 맥락주의적 관점에 의하면 청년은 환경의 영향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특정 환경의 특성에 의해 발달이 결정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특성으로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여러 환경적 특성들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적극적인 발달의 생성자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청년기는 많은 발달적 가소성을 갖는 시기이다. Lerner의 맥락주의 모형에서 순환적 기능과 확률적 생성은 핵심이 되는 개념이다. 순환적 기능이란 개인이 지닌 기질적 특성이 그가 몸담고 있는 환경적 맥락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개인의 경험을 형성함으로써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까다롭고 공격적인 청년은 부모나 주위의 다른 사람들을 지치거나 화나게 만들며, 이는 그 청년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나 반응을 낳아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 청년의 특성과 환경적 맥락 특성 간의 순환적 기능은 환경의 요구에 대한 청년의 반응에서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특정 환경은 그 환경 고유의 물리적 특성에서 오는 요구와 부모, 교사, 또래 등 주변 사람들의 고유한 성격, 가치, 기대에서 오는 요구가 있게 마련이며, 이러한 환경적 요구에 청년의 기질적 특성이 조화롭게 반응한다면 환경과의 긍정적인 순환적 기능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나아가 청소년의 건전한 발달을 가져온다. 개인의 고유한 내적 특성과 환경적 맥락 안의 순환적 기능을 거래적 상호작용이라 부른다. 확률적 생성은 환경적 맥락의 특성 및 개인과 환경 간 상호작용의 가변성과 특이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동일한 환경적 맥락이라도 이를 받아들이는 개인에 따라 그 상호작용은 달라질 수 있다. 같은 불우한 환경에서도 그 불우함으로 인해 오히려 뛰어난 발달적 성취를 보이는 청년과, 불우한 환경으로 인해 비행 청소년으로 추락하는 극단적으로 다른 발달 양상을 보게 되는 것은 확률적 생성의 예가 된다. 따라서 특정 청년의 특정 환경적 맥락에서 갖게 될 상호 영향력에 대해 확률적으로 언급할 수 있을 뿐, 이를 완벽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청년기 발달의 가소성이 인정되는 것은 바로 확률적 생성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반응형

'발달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기 사회인지발달  (1) 2024.12.19
청년기 인지발달  (0) 2024.12.18
청년기 발달이론(인지발달적 접근)  (0) 2024.12.16
지각발달(2)  (2) 2024.12.14
지각발달  (0) 2024.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