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83 대상개념발달 Piaget는 출생에서 2세 사이에 일어나는 중요한 인지발달적 변화의 하나로 대상개념의 발달을 들고 있다. 대상개념 또는 대상영속성 개념이란 우리 자신을 포함한 모든 대상들이 독립적인 실체로서 존재하며, 대상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했을 때, 시야에서 그 대상이 사라지더라도 다른 장소에 계속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 흔히 이러한 이해 능력은 인간이 갖고 태어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Piaget는 이 능력들이 감각운동기 동안 단계적으로 서서히 발달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Piaget는 대상개념도 감각운동기 하위 단계에 준하는 여섯 개의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믿는다. Piaget가 제시하는 대상개념의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1단계와 2단계 (약 0~4개월)이 단계의 영아는.. 2024. 11. 26. 감각운동기의 인지발달 아기가 태어날 때 생물학적으로 부여된 몇 개의 단순한 반사 기능은 감각운동기 동안에 물건을 잡고 빠는 등 여러 형태의 신체적 활동에 의해 다양한 감각운동적 도식으로 변화하며, 마침내는 의도적이며 체계적인 인지적 행동으로 발달해 나간다.Piaget는 감각운동기 발달을 여섯 개의 하위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감각운동기 동안 아동은 표상 형성의 기초가 되는 대상 개념을 발달시켜 간다.*감각운동기 하위 단계1단계: 반사 기능 단계(출생~1개월)출생 직후부터 영아는 입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 빨고, 손에 닿는 것은 잡으며, 소리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리는 등 일련의 반사 기능을 반복적으로 연습한다. 다시 말해, 자신이 지닌 반사 기능에 환경 내의 여러 자극들을 동화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화 과정 속에서도 .. 2024. 11. 26. Piaget 이론과 아동기 인지발달 Piaget 이론에서 인간의 지적 능력이란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지 발달을 이해하는 것은 곧 인간의 지적 능력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의 과정과 그 변화의 양상을 아는 것이다. Piaget에 의하면, 인간은 태어날 때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몇 개의 반사 기능만을 갖고 있다. 이 반사 기능을 바탕으로 마치 생물체가 환경에 순응하기 위하여 자기 신체 구조를 바꾸어 가듯이, 인간도 환경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자신의 인지 구조를 재구성해 나간다. 예를 들어, 아기는 여러 형태나 크기의 고무 젖꼭지를 빨아 봄으로써 빠는 반사 기능을 정교화해 간다. 또한, 손에 닿는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 빨아 봄으로써 잡는 반사 기능.. 2024. 11. 26. 이전 1 ··· 18 19 20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