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68 전조작기의 인지발달(개념발달 특성) 전조작기 동안 유아는 불완전하지만 나름대로의 독특한 개념을 발달시켜 간다. Piaget의 아동기 인지 발달 이론이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이 아마도 전조작기 아동 특유의 개념 발달 연구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iaget의 전조작기 아동의 개념 발달 연구는 최근 가장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기도 하다.(1) 분류 개념여러 사물과 현상들을 그 속성의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여 이들의 공통적인 범주를 찾아내는 분류 개념은 아동의 일상 적응에 대단히 중요한 지적 능력이다.Piaget는 2~5세 사이의 아동을 대상으로 여러 형태와 색깔의 동그라미, 네모, 세모꼴 등 기하학적 도형들을 제시하고 이들을 서로 같은 것끼리 모아 보라고 지시하였다. 아동들은 도형 두 개를 가지고 간단한 형태를 만들거나, 여러 개를 늘.. 2024. 11. 27. 전조작기의 인지발달(중심화) 전조작기 아동들은 모든 현상의 한 가지 측면만 고려할 수 있을 따름이어서, 두 개 이상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를 통합하는 조작적 사고가 결여되어 있다. Piaget는 이러한 전조작기 사고의 한계를 중심화라고 부른다.사고의 중심화 경향은 전조작기 인지 발달의 거의 모든 특성에서 나타나지만, 자기중심성과 직관적 사고를 통해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다.(1) 자기중심성자기중심성이란 타인의 생각, 감정, 지각, 관점 등이 자신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는 전조작기 사고의 특징을 의미한다. 자기중심성은 Piaget가 밝혀낸 전조작기 아동의 여러 인지 발달 특성 중에서 가장 많은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는 동시에, 가장 많은 비판을 받은 개념이기도 하다. Piaget의 연구 중에서 전조작기 자기중심적 사고를 가장 .. 2024. 11. 27. 전조작기의 인지발달(기호적 기능) 약 2세에서 7세 사이의 입학 전 아동기를 Piaget는 전조작기라 부른다. Piaget는 전조작적 단계를 다시 2~4세경의 전개념적 사고 단계와 4~7세 사이의 직관적 사고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전개념적 사고기는 내재적으로 형성된 표상을 유아가 여러 형태의 상징 또는 기호로 표현하는 기호적 기능이 인지 발달의 주축을 이루는 시기이다. 직관적 사고기에 들어서면 여러 가지 개념들이 발달하나, 이 시기 특유의 직관적 사고의 한계가 있다.기호적 기능감각운동기 끝 무렵에 아동이 심상을 형성하기 시작한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최초에 형성되는 심상은 대상의 모습, 동작 등에 대한 영상적인 표상이 주를 이루며, 대상의 속성을 언어적인 개념을 통해 의미적으로 표상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4세 이전의 .. 2024. 11. 27. 대상개념발달 Piaget는 출생에서 2세 사이에 일어나는 중요한 인지발달적 변화의 하나로 대상개념의 발달을 들고 있다. 대상개념 또는 대상영속성 개념이란 우리 자신을 포함한 모든 대상들이 독립적인 실체로서 존재하며, 대상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했을 때, 시야에서 그 대상이 사라지더라도 다른 장소에 계속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 흔히 이러한 이해 능력은 인간이 갖고 태어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Piaget는 이 능력들이 감각운동기 동안 단계적으로 서서히 발달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Piaget는 대상개념도 감각운동기 하위 단계에 준하는 여섯 개의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믿는다. Piaget가 제시하는 대상개념의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다.1단계와 2단계 (약 0~4개월)이 단계의 영아는.. 2024. 11. 26. 감각운동기의 인지발달 아기가 태어날 때 생물학적으로 부여된 몇 개의 단순한 반사 기능은 감각운동기 동안에 물건을 잡고 빠는 등 여러 형태의 신체적 활동에 의해 다양한 감각운동적 도식으로 변화하며, 마침내는 의도적이며 체계적인 인지적 행동으로 발달해 나간다.Piaget는 감각운동기 발달을 여섯 개의 하위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감각운동기 동안 아동은 표상 형성의 기초가 되는 대상 개념을 발달시켜 간다.*감각운동기 하위 단계1단계: 반사 기능 단계(출생~1개월)출생 직후부터 영아는 입에 닿는 것은 무엇이든 빨고, 손에 닿는 것은 잡으며, 소리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리는 등 일련의 반사 기능을 반복적으로 연습한다. 다시 말해, 자신이 지닌 반사 기능에 환경 내의 여러 자극들을 동화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동화 과정 속에서도 .. 2024. 11. 26. Piaget 이론과 아동기 인지발달 Piaget 이론에서 인간의 지적 능력이란 개인이 주어진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지 발달을 이해하는 것은 곧 인간의 지적 능력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의 과정과 그 변화의 양상을 아는 것이다. Piaget에 의하면, 인간은 태어날 때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몇 개의 반사 기능만을 갖고 있다. 이 반사 기능을 바탕으로 마치 생물체가 환경에 순응하기 위하여 자기 신체 구조를 바꾸어 가듯이, 인간도 환경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자신의 인지 구조를 재구성해 나간다. 예를 들어, 아기는 여러 형태나 크기의 고무 젖꼭지를 빨아 봄으로써 빠는 반사 기능을 정교화해 간다. 또한, 손에 닿는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 빨아 봄으로써 잡는 반사 기능.. 2024. 11. 26. 이전 1 ··· 16 17 18 19 다음